취수/비상/이동식 사이펀 시공사례

소규모 농업용 저수지의 취수시설은 대부분 사통과 복통을 연결하는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복통은 저수지 사수위보다 낮은 위치에, 저수지 중앙부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큰 토압을 받는 상태이므로 내부 균열이 생긴다면 토사유출의 위험이 있고, 제체의 토사와는 이질적인 콘크리트 구조물이므로, 접촉면을 따라 유로가 형성될 수 있는 취약점이 있습니다.

기존 취수시설인 사통, 복통과 달리 제체를 관통하지 않고 사이펀 현상을 이용하여 제체 위를 월류하여 흐르기 때문에 노후화에 따른 제체 누수나 토사유출 등의 문제점을 근원적으로 없앤 취수/비상/이동식 사이펀 시설입니다.

현재 취수/비상/이동식 사이펀 기술적용 사례입니다.

고정식 비상 사이펀

  • 금성저수지
  • 고내저수지
  • 황룡저수지
  • 미전저수지

이동식사이펀

  • 논산지사 외 다수 업데이트 예정

이동식사이펀 시연회

  • 도리저수지 : 경남 진주.산청 외 다수 업데이트 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