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펀 취수시설 작동원리

사이펀 취수시설은 관내 물이 가득차 있는 상태로 흐르는 관수로 유동으로 평상시 방류밸브가 닫힌 상태로 유지됩니다.  취수시 방류밸브를 열면 수위차에 의해 저수지의 물이 방류되고, 방류밸브를 닫으면 취수가 중단됩니다.
겨울철에는 동파 방지를 위해 사이펀 취수시설에서 물을 빼내고, 겨울이 지나 동파 위험이 사라지면 다시 물을 가득 채워 사이펀 취수시설을 운영합니다. 또한 사이펀 취수시설의 유지보수나 관리작업을 위해서도 물을 비우고 작업이 끝나면 다시 물을 가득 채웁니다.

사이펀 취수시설 개념도

사이펀 취수시설 물채우기

사이펀취수시설 물채우기

1 단계 : 양수기 이용, 방류관 물채움

사이펀 취수시설의 물을 채우는 1단계로서 에어벤트와 제체 상단 밸브는 열고 하류의 방류밸브는 닫습니다. 그후 양수기를 이용하여 저수지의 물로 사이펀 취수시설을 채웁니다. 방류부 관로에 물이 차면서 관내 공기는 에어벤트를 통해 빠져나갑니다. 방류부 관로가 가득차면 양수기를 정지시키고 에어벤트를 닫습니다.

작동원리 1단계 방류관로채움

2 단계 : 방류밸브 개방, 관내 음압 생성

2단계로서 에어벤트를 닫아 외부 공기와 단절시킨 후 방류밸브를 엽니다.
방류밸브가 열리며 방류관로에 있던 물은 방류밸브를 통과하여 빠져나가고 그에 따라 관내의 압력은 음압이 됩니다. 관내 압력이 음압으로 변하게 되면 유입관로쪽의 물은 음압에 의해 빨려 올려져 수위가 상승하게 됩니다.

방류밸브 개방, 음압생성

3 단계 : 수위상승, 목부 월류 발생

방류관로의 물이 계속 빠져나가며 관내의 압력은 더 큰 음압이 되고 유입관로의 수위는 점점 높아지게 됩니다. 유입관로에서 올라온 물이 목부를 넘어 방류관로로 흘러가는 목부 월류가 나타납니다.

수위상승, 목부 월류 발생

4 단계 : 사이폰 흐름(압력관수로) 형성

유입관로에서 목부를 넘어간 흐름은 방류관로로 흐르면서 방류관로의 공기와 함께 방류밸브를 통과하여 빠져나가고 물이 가득찬 압력관수로 흐름인 사이펀 흐름이 형성됩니다.
관내 물이 가득차게 되면 저수지 수위와 방류부의 높이차로 흐름이 계속 유지됩니다. 방류밸브를 잠그면 관내 압력은 음압, 물이 가득찬 상태로 정지하게 됩니다.

사이펀흐름 형성

필요시 방류밸브를 열면 수위차에 의해 다시 사이펀 흐름이 발생하며, 방류밸브를 잠그면 흐름이 멈춥니다.

사이펀 취수시설 물빼기

사이펀 취수시설의 물을 비울때는 방류밸브를 열기 전에 에어벤트를 엽니다. 에어벤트를 열면 음압인 사이펀 취수시설로 공기가 들어가  관내 압력을 대기압으로 만듭니다. 이때 방류부 관로는 방류밸브가 닫혀있으므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유입부 관로는 열려있으므로 제체 마루에서 저수지로 물이 빠져나가 유입부 관로는 물이 없게 됩니다. 그 후 방류밸브를 열어 방류부 관로의 물을 제거합니다. 유입관로와 방류관로 전영역에 물을 비워 겨울철 동파에 대비하거나 유지보수, 관리작업을 수행합니다.

사이펀 취수시설에 적용되는 관련 특허는 다음과 같습니다.
 사통·복통 대체용 다수의 취수구를 이용한 취수시스템(제10-1683462호)
 사통·복통 대체용 부력장치를 이용한 경동식 취수시스템(제10-1683464호)
 공기유입방지 및 고양정 흡입이 가능한 월류형 취배수 장치(제10-2008204호)
 싸이펀 작동 유발부를 가지는 싸이펀 장치(제10-1566915호)